2025/05/02 2

사진과 정치 , 보도사진 ,선전 도구로서의 사진

사진은 발명 초기부터 현실을 있는 그대로 기록할 수 있는 객관적인 도구로 인식되었지만, 실제로는 특정한 시선과 의도를 담아낼 수 있는 강력한 정치적 수단이기도 하다. 특히 사진이 대중에게 확산되기 쉬운 매체라는 점에서, 정권과 이데올로기는 사진을 선전 도구로 적극 활용해왔다. 사진은 단순한 기록을 넘어 권력을 정당화하고, 민중의 감정을 유도하며, 역사적 기억을 구성하는 데 관여하는 매체다.19세기 후반, 제국주의가 확산되던 시기부터 사진은 이미 정치적 목적을 띠기 시작했다. 유럽 열강은 식민지를 촬영한 사진을 문명화의 증거로 삼았으며, 식민지 주민을 ‘타자화’하고 열등한 존재로 표현함으로써 지배를 정당화했다. 이러한 사진은 과학적 탐사나 민족지 기록의 형식을 띠었지만, 실제로는 식민지 정복의 명분을 시각..

사진학 2025.05.02

여성사진의 역사와 소개

사진의 발명 초기부터 여성들은 사진가로 활동했지만, 오랫동안 그들의 기여는 조명받지 못했다. 19세기 중반, 사진이 대중화되면서 여성들도 초상사진을 중심으로 스튜디오를 운영하거나 예술적 실험을 시도했다. 대표적으로 줄리아 마거릿 카메론은 빅토리아 시대에 활동하며 회화적이고 문학적인 분위기의 인물사진을 남겼다. 그녀는 뚜렷한 초점 대신 부드러운 경계를 선택하며 신화, 종교, 문학적 인물을 재현하는 데 집중했다. 당시로서는 매우 실험적인 접근이었으며, 이는 훗날 사진을 예술로 보는 시각에 큰 영향을 주었다.20세기 초, 여성 사진가들은 점차 사회적 이슈를 다루기 시작했다. 미국의 프랜시스 벤자민 존스턴은 사진을 통해 교육과 산업의 현장을 기록했고, 도로시아 랭은 대공황 시기 '이주 노동자 어머니'와 같은 강..

사진학 2025.05.02